TA505 조직, 국내 항공사 전자항공권 사칭 해킹 메일 유포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하계 휴가 시즌을 앞둔, 7월 25일 아침부터 국내 항공사의 전자항공권(e-ticket) 확인증으로 위장한 해킹 이메일이 다수 유포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림1] 국내 항공사의 전자항공권 확인증으로 위장한 메일
공격자는 '**항공 e-티켓 확인증입니다.' 이라는 메일 제목으로 사용자를 현혹하고 있으며, 이메일 내용 본문에서도 정교한 한국어를 사용하여, 메일 수신자로 하여금 첨부파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합니다.
첨부파일에는 'e-ticket 확인증_(랜덤숫자).iso' 파일명의 압축파일이 첨부되어 있으며, 압축 해제시 아이콘과 확장자명을 PDF문서로 위장한 스크린세이버 파일 'e-ticket 확인증_66016630.pdf.scr' 또는 'L207123.lnk' 등 다양한 악성파일이 다운로드되게 됩니다.
'e-ticket 확인증_66016630.pdf.scr' 파일은 닷넷 기반으로 제작된 악성코드입니다. C2 서버를 통해 추가 페이로드를 다운로드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림 1-0] 닷넷 기반으로 제작된 악성파일의 C2 화면
[그림 1-1] 압축 파일 내부에 포함된 악성파일 화면
File Name | MD5 |
e-Ticket 확인증_5629110.iso | 44215ae4681773954b404ddfae416248 |
L207123.lnk | 22e41b97813c028fd7c4ae6d32572534 |
e-Ticket 확인증_95291015.iso | f834018fee0597d8be54b7174bc5048d |
e-Ticket 확인증_66016630.pdf.scr | 0571bb4ecf3dbf5d5185eabd7d03d455 |
e-Ticket 확인증_5629110.iso | c9ce180f2fa6097798224c7cc3abdfaf |
e-Ticket 확인증_54661619.pdf.scr | 1d87a127b31c8a67f6902bdc6366374b |
e-Ticket 확인증_90912929.pdf.scr | 279215fc358060825372c2de68dd5c4f |
e-Ticket 확인증_95291015.pdf.scr | 3f45a8fbec15305de1d4a296006c5b01 |
공격자는 발신지 이메일 주소를 다양하게 만들어 차단과 추적을 어렵게 만들고 있고, 해당 악성코드를 메일 수신자가 실행할 경우, 특정 명령제어(C&C) 서버와 통신하여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및 실행하게 하고 있습니다.
- http://27.102.70[.]196/km1 -> http://27.102.70[.]196/1.dat
- http://27.102.70[.]196/km2 -> http://92.38.135[.]67/2.dat
- http://27.102.70[.]196/k1
- http://27.102.70[.]196/k2
- http://92.38.135[.]67/k1
- http://92.38.135[.]67/k2
- http://92.38.135[.]67/km1
- http://92.38.135[.]67/km2
- http://139.180.195[.]36/p1
- http://139.180.195[.]36/p2
- http://139.180.195[.]36/pm1
- http://139.180.195[.]36/pm2
- http://45.67.229[.]36/p1
악성코드와 통신하는 C&C주소는 다음과 같고, '92.38.135[.]67' 주소와 '27.102.70[.]196' IP 주소는 동일한 악성코드가 유포되었고, '45.67.229[.]36' 주소와 '139.180.195[.]36' 아이피에도 동일한 파일이 7월 중순에 유포된 바 있습니다.
File Name | MD5 |
km1 | 91bce06fe0ee40afb9ba7ea12ae00a77 |
km1 | c43496f70be5263a4bab6c853e610951 |
km2 | deb3a3d09a656ac14eb83574d2fcd2b3 |
km2 | 62b1ad72a7cb1699cebe7b71518f65be |
k1 | 3f45a8fbec15305de1d4a296006c5b01 |
k2 | cf07da2872c29a4682380a66080fcd61 |
k2 | ad78c04d0e7990d32d09becb82426d37 |
p1 | 57484338303a48dffadf466f74db4bab |
p2 | 57484338303a48dffadf466f74db4bab |
pm1 | c3e961ad583d9c4bd3892456eb6516d5 |
pm2 | c3e961ad583d9c4bd3892456eb6516d5 |
1차로 다운로드되는 'km1' 사례를 대표적인 파일로 확인해 보면, 'www.exetomsi.com'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Exe to msi converter free' 프로그램을 통해 Windows Installer(.msi) 형태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 1-2] 'km2' 파일 속성 정보 화면
'km2.msi' 파일 내부에는 또 다른 악성 바이너리 코드가 숨겨져 있습니다.
[그림 1-3] MSI 파일 내부에 숨겨져 있는 추가 악성 바이너리
내부에 숨겨져 있는 파일은 우선 감염된 시스템이 가상환경(VMware, VirtualBox) 등인지 프로세스를 비교하여 동적 분석을 방해하게 됩니다.
[그림 1-4] Anti-VM 기능이 존재하는 바이너리 코드 화면
해당 악성 코드는 네트워크 및 시스템 정보 등을 수집하며, 다음과 같이 2차 인코딩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변환 후 설치하게 됩니다.
- http://27.102.70[.]196/km1 -> http://27.102.70[.]196/1.dat
- http://27.102.70[.]196/km2 -> http://92.38.135[.]67/2.dat
[그림 1-5] '2.dat' 파일과 'wsus.exe' 파일 전후 비교
'wsus.exe' 파일에는 유효한 디지털 서명('FILESWAP GLOBAL LTD')이 포함되어 있으며, FlawedAmmyy RAT 변종입니다.
FlawedAmmyy RAT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원격 호스트로 접속해 추가 명령을 대기하게 됩니다.
- 169.239.128[.]36
[그림 1-6] Ammyy Admin RAT 코드 화면
공격에 활용된 악성코드를 분석한 결과, ESRC는 2019년 상반기 한국기업의 AD서버를 대상으로 클롭(Clop) 랜섬웨어를 유포했던 러시아 기반으로 추정중인 'TA505' 조직이 위협 배후에 가담하고 있는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번 악성 이메일 공격의 배후로 보이는 'TA505'조직은 지난 달에도 '송금증 $(랜덤숫자)', '6월 거래내역서', '국세청 송장' 등으로 사칭한 메일 제목으로 악성메일을 대량 유포한 바 있습니다.
▶ TA505 그룹, 송금증 내용을 위장한 악성 피싱메일 대량 유포 중! (2019. 06. 20)
▶ TA505 그룹, 거래내역서, 견적서, 영수증 등으로 사칭해 Ammyy RAT 유포 (2019. 06. 03)
▶ TA505 그룹, 국세청 홈택스 사칭해 악성 메일 대량 유포 중! (2019. 05. 30)
▶ TA505 그룹, 국세청 사칭해 악성 메일 대량 유포 중! (2019. 05. 28)
▶ TA505, 반출 신고서, 출근부 등을 위장한 새로운 악성 파일 유포중! (2019. 05. 21)
▶ TA505조직, 다양한 피싱 메일 형태로 악성 설치파일 유포 주의! (2019. 05. 16)
▶ TA505조직, 또다시 엑셀 문서로 위장한 악성 이메일 유포해 (2019. 05. 08)
▶ TA505 조직, 요청자료 엑셀문서처럼 위장해 한국에 악성 이메일 유포 중 (2019. 05. 02)
▶ 클롭(Clop) 랜섬웨어 유포 조직이 진행하는 기업 타깃 대량공격 주의! (2019. 04. 24)
▶ Trojan.Ransom.Clop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9. 03. 22)
▶ 유출된 소스코드 기반으로 제작된 악성코드 유포 주의 (2019. 02. 14)
조금 달라진 부분은, 기존에는 주로 MS오피스의 'xls', 'doc' 문서 파일의 매크로 기능을 활용했지만 이번에는 압축파일 내부에 PDF문서 파일로 위장한 실행파일(.scr)을 담고 있다는 점과 최근 약간 활용이 뜸해진 바로가기(.lnk)파일을 이용한 악성행위를 수행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유포된 이번 악성코드에 감염될 경우, 공격자가 지정한 C&C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공격자가 감염된 PC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정보수집 및 추가 악성코드 설치도 가능한데, 이를 통해 공격자는 특정 기업의 내부 환경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고 맞춤형 랜섬웨어를 유포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특히 이번에 확인된 악성코드는 유효한 디지털서명도 포함하고 있어, 기업에서 활용중인 화이트리스트 기반 보안솔루션을 우회가능하다는 점에서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림2] 악성코드가 포함하고 있는 유효한 디지털 서명
이외에도 세금계산서 처럼 위장한 사례도 함께 유포한 정황이 확인되었습니다. 마치 전자세금계산서가 발행된 것처럼 위장해 악성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도록 유도합니다.
[그림 3] 전자(세금) 계산서로 위장한 사례
마치 이메일 화면에는 '25072019_0291.xls' 파일 링크가 존재하며, 다음과 같은 악성 파일이 특정 한국 호스트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 http://coreapc.co[.]kr/25072019_8351.xls
- http://korpla.co[.]kr/25072019_0291.xls
- http://www.ma.mctv.ne[.]jp/~blanc/25072019_4093.xls
- http://fakers.co[.]jp/25072019_0963.xls
File Name | MD5 |
25072019_8351.xls | 4d0511050aa5e48d3cac0e697e168fb3 |
25072019_0291.xls | 7928e36c8a45f98d5adf2016740b77eb |
25072019_4093.xls | 5f6c61cccf8cb547a3979e1d49a7ef81 |
25072019_0963.xls | d6438345c12dd000ff2d55a7a3b8ccb6 |
그리고 엑셀 파일이 실행되면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한 것처럼 조작한 문구로 현혹해 악성 매크로 기능을 실행하도록 유도합니다.
[그림 4] 악성 엑셀 문서 실행 화면
매크로가 작동하면, '92.38.135[.]67' 호스트로 접속해 'k2' 악성파일을 설치시도하게 됩니다.
현재 ESRC는 관련 이슈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변종 발생에 대응중이며, 이슈 관련 IoC(침해지표)에 대해서는 공개한 부분 외에 추가되는 내용이 있는 경우 '쓰렛 인사이드(ThreatInside)' 서비스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현재 알약에서는 해당 악성파일에 대해 Trojan.Downloader.9216C, Trojan.Agent.180224, Trojan.Agent.155400, Trojan.Downloader.XLS.gen, Backdoor.RAT.FlawedAmmyy 로 탐지 중에 있습니다.